Abaek

한국 인구소멸 고위험군 도시 시군 순위 52위

한국 인구소멸 고위험 도시,시군

인구소멸 고위험 도시 시군 52위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한국 도시 인구소멸 고위험지역 52위(2025년 기준) 및 현재 인구

한국의 인구소멸 고위험지역(지방소멸위험지수 0.2 미만) 52곳은 주로 전남, 경북, 전북, 경남, 강원 등 비수도권 농산어촌 지역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이 지역들은 젊은 여성 인구의 유출과 고령화, 저출산, 경제적 침체, 일자리 부족, 수도권 집중 현상 등 복합적 원인으로 인구 감소가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소멸 원인 요약

  • 고령화: 젊은 인구가 빠져나가고 남은 인구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됨.
  • 저출산: 결혼과 출산을 기피하는 현상, 양육·주거비 부담 증가.
  • 일자리 및 경제 침체: 지역 내 일자리 부족, 경제적 기회 감소로 청년층 유출.
  • 수도권 집중: 교육·취업 등 기회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지방 청년 인구가 대거 이동.
  • 지역 매력도 저하: 문화·복지·교통 등 인프라 부족으로 정주 매력 하락.
  • 정주 기반 붕괴: 빈집, 폐교 등 지역 공동체 기반 약화.

인구소멸 고위험지역 52위 순위 및 현재 인구(2025년 기준, 일부 최근치)

순위 도시(시·군) 소멸위험지수 현재 인구 비고
1경북 군위군0.1123,000경북, 고위험
2경북 의성군0.1249,954경북, 고위험
3전남 고흥군0.1260,605전남, 고위험
4경남 합천군0.1347,160경남, 고위험
5경북 봉화군0.1328,719경북, 고위험
6경북 청송군0.1426,225경북, 고위험
7전남 신안군0.1438,217전남, 고위험
8경남 남해군0.1422,000경남, 고위험
9경북 청도군0.1441,000경북, 고위험
10전북 무주군0.1822,000전북, 고위험
11전북 장수군0.1821,000전북, 고위험
12전북 고창군0.1853,000전북, 고위험
13전북 순창군0.1927,000전북, 고위험
14전남 구례군0.1824,000전남, 고위험
15전남 장흥군0.1936,000전남, 고위험
16전남 강진군0.1934,000전남, 고위험
17전남 진도군0.1929,000전남, 고위험
18경북 성주군0.1941,000경북, 고위험
19경남 고성군0.1951,000경남, 고위험
20경남 함양군0.1934,000경남, 고위험
21경남 산청군0.11432,000경남, 고위험
22경남 하동군0.11943,000경남, 고위험
23경남 의령군0.11825,000경남, 고위험
24경남 창녕군0.14358,000경남, 고위험
25경남 함안군0.19956,000경남, 고위험
26경남 밀양시0.19599,000경남, 고위험
27경북 영양군0.1515,000경북, 고위험
28경북 울릉군0.169,000경북, 고위험
29경북 영덕군0.1733,000경북, 고위험
30경북 예천군0.1844,000경북, 고위험
31경북 문경시0.2067,000경북, 고위험
32경북 상주시0.1894,000경북, 고위험
33경북 영주시0.2499,000경북, 고위험
34경북 영천시0.2397,000경북, 고위험
35전북 김제시0.2180,000전북, 고위험
36전북 정읍시0.24109,000전북, 고위험
37전북 남원시0.2375,000전북, 고위험
38강원 태백시0.2339,000강원, 고위험
39강원 삼척시0.2262,000강원, 고위험
40강원 영월군0.1936,000강원, 고위험
41강원 정선군0.1834,000강원, 고위험
42강원 인제군0.2032,000강원, 고위험
43강원 양구군0.1921,000강원, 고위험
44강원 고성군0.1726,000강원, 고위험
45충남 청양군0.1629,000충남, 고위험
46충남 금산군0.1850,000충남, 고위험
47충남 서천군0.1948,000충남, 고위험
48충남 부여군0.2060,000충남, 고위험
49충남 예산군0.1978,000충남, 고위험
50충북 단양군0.1828,000충북, 고위험
51충북 영동군0.1945,000충북, 고위험
52충북 옥천군0.1948,000충북, 고위험